반응형 전체 글209 21. 디자인 패턴(Design Patterns) - 3 모듈(Module) 패턴과 중재자(Mediator) 패턴 모듈(Module) 패턴 모듈 패턴은 JavaScript에서 모듈화를 구현하기 위한 디자인 패턴 중 하나입니다. 이 패턴은 코드를 여러 파일로 분리하여 관리하고 모듈 간의 의존성을 줄이는 데 사용됩니다. 주로 캡슐화와 정보 은닉을 통해 코드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는 데 활용됩니다. 핵심 내용: 모듈 패턴은 즉시 실행 함수 표현식(IIFE)을 사용하여 모듈을 생성합니다. 내부 변수와 함수는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도록 캡슐화되며 필요한 경우 공개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에 노출됩니다. 모듈 간의 의존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일 책임 원칙을 따르며, 각 모듈은 특정 기능 또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예시: var Module = (function() { // .. 2024. 2. 16. 20. 디자인 패턴(Design Patterns) - 2 옵저버(Observer) 패턴과 프록시(Proxy) 패턴 옵저버 패턴과 프록시 패턴은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중에서 각각 관찰자 패턴과 프록시 패턴을 나타냅니다. 이 두 패턴은 각각 객체 간의 상호 작용과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데 유용합니다. 1. 옵저버(Observer) 패턴 옵저버 패턴은 객체 사이의 일 대 다 의존 관계를 정의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객체의 상태 변화가 발생하면 이를 관찰하는 다른 객체들에게 알림을 전달하여 상호 작용합니다. 핵심 내용: 주체(Subject) 객체와 여러 옵저버(Observer) 객체들로 구성됩니다. 주체 객체의 상태가 변경되면 옵저버들에게 이를 알리고 상태에 따라 각각의 옵저버가 업데이트됩니다. 느슨한 결합을 통해 객체 간의 상호 작용을 유연하게 관리할 수 .. 2024. 2. 16. 19. 디자인 패턴(Design Patterns) - 1 싱글톤(Singleton) 패턴과 팩토리(Factory) 패턴 싱글톤 패턴과 팩토리 패턴은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중에서 자주 사용되는 패턴입니다. 이번 챕터에서는 두 패턴의 개념과 각각의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싱글톤(Singleton) 패턴 싱글톤 패턴은 애플리케이션 전체에서 단 하나의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이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주로 공유된 자원이나 설정, 로깅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핵심 내용: 인스턴스 생성을 단 한 번만 수행하고 그 이후에는 기존 인스턴스를 반환하는 방식으로 구현됩니다. 전역 변수를 사용하거나 정적 메소드를 통해 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예시: class Singleton { constructor() { if (!Singleton.in.. 2024. 2. 16. 18. 메모리 관리(Memory Management) - 3 메모리 사용량 최적화를 위한 모범 사례 메모리 사용량 최적화는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과제입니다. 이번 챕터에서는 메모리 사용량을 최적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모범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적절한 데이터 구조 선택 적절한 데이터 구조를 선택하는 것은 메모리 사용량을 최적화하는 데 중요합니다. 작은 크기의 데이터에는 배열보다는 맵이나 세트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또한 큰 데이터셋을 다룰 때는 필요한 데이터만 로드하고 필요 없는 데이터는 지연 로딩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예시: // 배열 대신 맵 사용 예제 const map = new Map(); map.set('key1', 'value1'); map.set('key2', 'value2'); 2... 2024. 2. 16.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53 다음 반응형